[한국경제] 법무법인 충정 “산업 구조, 비대면 비즈니스로 재편…중소기업에 맞춤형 법률서비스 제공”

“4차 산업혁명, 한계기업, 중국 대응.”

​법무법인 충정의 박균제 대표변호사(사법연수원 17기·사진)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집중할 분야에 대해 묻자 이렇게 답했다. 박 대표는 “시장 상황 변화와 고객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해 지속적인 충정의 성장을 도모할 것”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.​

충정은 ‘언택트(비대면) 비즈니스’의 부상에 주목하고 있다. 박대표는 “이미 한국 산업 구조가 비대면 비즈니스로 재편되고 있다”며 “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많은 한계기업이 나올 것”으로 내다봤다.​

충정은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부터 기술정보통신팀을 구성했다. 이 팀은 기술 발전으로 야기되는 각종 법률 이슈에 활발히 대응하고 있다. 충정의 기술정보통신팀은 국내 최초로 이뤄진 암호화폐공개(ICO) 자문을 맡는 등 그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. 또한 BDO성현회계법인과 협업해 개별기업 맞춤 사업 재편, 구조조정, 자금 조달 등 제반 법률, 회계, 세무 문제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. 박 대표는 “코로나19가 언택트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는 기회로 작동했다”며 “충정은 기존 대기업과는 다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식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도 내놓겠다”고 했다.​

박 대표는 코로나19 이후 중국과의 국제 관계는 더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했다. 중국은 ‘G1’ 지위를 두고 미국과 무역분쟁을 불사하는 등 영향력이 날로 커지는 상황이다. 최근엔 코로나19 등으로 확장세가 잠시 주춤한 것일 뿐이라는 게 박 대표의 판단이다. 충정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최금란 중국 변호사를 영입, 중국업무전문팀을 구성했다. 중국업무전문팀은 기업 간 투자, 국제거래 분쟁 해결, 형사변호 등에서 심도 있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.​

이외에도 집단소송법안,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등 다양한 기업규제 법령에 대한 입법 대응에 나섰다. 박 대표는 “입법 후 법령의 적용·해석 관련 자문 못지않게 입법 과정에 기업의 의견과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‘사전 입법대응’도 중요하다”며 “4선 국회의원인 김정훈 변호사를 영입해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”고 설명했다.​

박 대표는 충정 운영 방향에 대해 “대규모 인력 확충과 같은 외형적 성장보다 내실을 다지고 있다”며 “장기 전문교육과정을 지원하는 등 기존 핵심 역량 위주로 구성원의 전문성을 발전시키고 있다”고 설명했다. ​



https://www.hankyung.com/society/article/2021042037121

Leave a Reply